본문 바로가기
비지니스

중국의 알리페이 한국의 삼성페이와는 다르다.

by 정보창고 2019. 8. 5.
반응형

저는 현재 중국에서 2년6개월정도 출장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주재원의 탈을 쓴 장기 출장자 신분이지요. ( 주재비를 주지 않으려는 회사의 노력에 박수를 보냅니다. )

 

사실 중국에 오기전 많은 선입견들이 있던것이 사실이에요. 

막상 중국에서 살면서 현지화가 좀 진행되다보니 그저 서로 다른 문화일뿐 편리한 부분도 많이 있습니다.

 

중국 사람들은 현금을 가지고 다니지 않는 추세입니다.

 

알리페이 (#支付宝 #쯔부바오 / 쯔뿌바오) 또는 위쳇페이 ( #微信 #웨이신 )을 이용해서 결제를 하는데요.

식당이나 쇼핑할때 뿐만 아니라 길거리 노점상, 그리고 택시 등등 현금없이 핸드폰을 이용해서 결제를 합니다.

 

알리페이 , 위쳇페이

 

실제로 저도 한국에서는 삼성페이를 이용해서 결제를 하는편입니다.

애플 스마트폰을 사용 안하는데 삼성페이도 어느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 편이네요.

 

중국의 결제 방법과 한국의 결제방법을 모두 사용해 봤을때 어느것이 편리한가?

 

저는 개인적으로 중국의 결제 방법이 더 편리하다고 느낍니다.

삼성페이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편의점에서 결제하실때 참 편리하다는 것을 느끼실텐데요. 

알리페이와 위쳇페이는 사용자 편의성에서 좀 더 편리합니다.

 

그저 앱을 실행 시킨후에 바코드만 보여주면 되기 때문이죠.

 

싱가폴에서도 대부분 위펫페이와 알리페이로 결제가 가능하지만, 해외에서는 외국인은 결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한국분들은 중국과 한국 외 다른 나라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점이 불편하지만 중국 내에서는 정말 막강한 결제 수단이 입니다.

 

한국에서도 제로페이 그리고 QR코드를 이용한 카카오페이를 정착시키려 많은 노력을 하고는 있지만 개인적으로 기존의 결제 방식에서 변화 되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다고 생각이 드네요.

 

우선 중국과 한국의 결제 시스템과 가장 다른점은 결제할때 중국은 수수료가 없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쇼핑몰을 한국에서 구축한 적이 있었는데요. 결제와 관련된 것을 신청할때 정말 번거롭도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요. 또한 매 결제 건수마다 해당 카드사에 수수료를 줘야하기 때문에 결국 상품의 가격 상승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중국의 경우에는 핸드폰 어플을 통해 본인 QR코드 또는 바코드 코드만 클릭하면 결제가 되기 때문에 상점 어느곳에 가던지 프린트를 해서 카운터 / 벽 / 테이블에 붙여 놓습니다.

 

판매하는 사람과 돈을 지불하는 사람 모두 서로의 돈을 주고 받을때 수수료를 낼 필요가 없는것이죠.

 

물론 중국의 모든 결제 시스템을 거의 독점했으니 그로 인한 다른 엄청난 수익구조가 있겠지만, 어찌되었건 서로 돈을 주고 받는데 수수료를 가져가지 않기에 모든 사업자가 결제 수단으로 이용을 하고 있습니다.

 

2010년도에 중국에 출장을 왔을때는 위안화로 환전을 해서 중국에 갔지만, 요즘 회사 사람들을 보면 아무도 환전을 해서 중국에 오지 않습니다. 현금이 필요 없기 때문인데요. 

 

물론 위쳇페이와 알리페이를 사용하려면 중국에 있는 은행에서 통장을 개설해야 되기 때문에 하루정도는 은행업무를 보셔야 합니다.

 

삼성페이가 처음 나왔을때 정말 편리하다고 느꼈었는데요. 중국의 알리페이처럼 모든 결제에 삼성페이를 사용 할 수 있었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드네요. 

 

하지만 한국에서는 넘어야 할 벽들이 너무나도 많을 것 같습니다. ( 카드사에서 수수료 사업을 포기 할 수 없겠지요. )

 

우버택시가 중국에 진출했다가 경쟁이 되지 않아서 디디추징(중국의 우버)에 회사를 매각하고 철수 했는데요.

 

중국에 지내다보면 한국에서는 서로의 이해관계가 너무 복잡하게 얽혀있어서 사용할 수 없는 것들이 외국에서는 너무 편리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향수병때문에 한국에 빨리 돌아가고 싶는 마음이 굴뚝같지만요.

 

비슷하지만 직접 사용해 보면 다른 삼성페이와 알리페이.

 

한국에서도 삼성페이가 알리페이처럼 좀 더 편리하게 모든곳에서 사용할 수 있었음 좋겠네요.

반응형

댓글